2023년 12월 5일 신재난의학아카데미 (SDMA) CEO 신희준은 필리핀 마닐라에서 개최된 CBRNe Summit Asia 2023 컨퍼런스에서 최초의 한국 연자로 초대받아 " CBRNe and Counter-Terrorism Medicine Education in South Korea " 주제로 구연 발표를 하였다.
게시일: 2023년 12월 1일
출처 : LG헬로비전(http://news.lghellovision.net)
순천향대 부천병원이 오늘(1일),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를 개소했습니다.
이번에 문을 연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는 재난 의학의 전체 영역을 다루는 전문 교육과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연구 교류를 통해 민관 협력 모델을 제시할 계획입니다.
초대 센터장에는 신희준 응급의학과 교수가 임명됐으며 개소와 동시에 재난의학 분야에 대한 심포지엄을 함께 열었습니다.
[신희준/순천향대 부천병원 재난의학센터장: "재난은 일단 발생하게 되면 대응하거나 복구하는 부분에 굉장히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들고요. 개인 병원들이 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재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민관이나 민군이 협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출처 : LG헬로비전(http://news.lghellovision.net)
이정하 기자
게시일: 2023년 11월 14일
출처 :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9920 )
[의학신문·일간보사=이상만 기자] 순천향대 부천병원(병원장 신응진)이 12월 1일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를 개소하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에 개소하는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는 재난의학의 모든 영역을 다루는 체계적인 전문 교육과 인증시스템을 구축하고, 연구 교류를 통해 성공적인 민-관 또는 민-군 협력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교육 대상은 전국의 의료진과 의대생, 간호대생, 응급구조과 학생 및 일반인, 소방대원, 경찰, 군인 등이다. 이를 위해 순천향대 부천병원은 신희준 응급의학과 교수를 센터장으로 임명했다.
신 센터장은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병원 BIDMC(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재난의학 펠로우십 및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 펠로우 출신으로 다양한 재난의학 국제 전문 자격증을 보유하고, 미국 및 유럽 재난의학회 등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한 국내 몇 안 되는 재난의학 전문가다.
국내외 주요 재난의학 교육기관의 훈련교육과 워크숍을 설계하고, 운영위원과 강사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는 12월 1일 오후 2시 순천향대 부천병원 순의홀에서 ‘CBRNe와 Counter-Terrorism Medicine: 현대 위협에 대한 대응 전략’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신희준 순천향 재난의학센터장과 로베르토 무가베로 유럽 재난의학센터 회장이 주요 연자로 참여해 ▲CBRNe(화학·생물·방사능·핵·고폭탄) 위협 및 대테러의학 개관 소개, ▲최근 CBRNe 위협 및 의학적 대응에 대한 사례 분석(하마스-이스라엘 테러), ▲현장의 최첨단 CBRNe 재난 기술 및 대응 전략의 소개 등에 대해 강의하고, ‘대한민국의 재난의료체계는 CBRNe 및 테러에 안전한가?’를 주제로 패널 토의를 진행한다.
패널 참석 대상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국방부, 화학물질안전원, 원자력연구원, 소방청,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경찰청, 경기도청, 부천시청, 부천시보건소 관계자와 의료진 등이다. (심포지엄의 자세한 내용은 순천향대 부천병원 홈페이지(https://url.kr/39er4c) 참조).
신희준 순천향 재난의학센터장은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는 12월 1일 예정인 심포지엄과 유럽 재난의학센터 MOU를 시작으로 세계 유수 재난의학 교육기관들과 MOU를 체결하고, 재난 응급의료 전문가 양성 교육 및 인증 체계를 구축하여 국내 최고의 전문 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 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9920 )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게시일: 2023년 11월 14일
출처 : 스포츠조선
( https://sports.chosun.com/life/2023-11-14/202311150100104920013908?t=n1 )
순천향대 부천병원(병원장 신응진)이 12월 1일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를 개소하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최근 하마스의 이스라엘 테러 사건을 비롯해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테러 위협 및 재난 사고가 점점 잦아져 재난의학의 중요성을 절감하고, 전문가 양성 및 교육인증센터를 체계화해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북한군 도발 및 도심 테러·재난 사고의 위험이 점점 커지고 있는 반면에 국내 재난의학 교육기관은 중앙응급의료센터(KDLS, 한국형 재난의료 지원), 서울대병원(NDLS, 국가재난응급의료교육센터), 대한재난의학회 등 몇몇 기관에 불과하고, 대부분 서울에 집중되어 있어 수도권이나 지방 관계자들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재난의학 교육을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번에 개소하는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는 재난의학의 모든 영역을 다루는 체계적인 전문 교육과 인증시스템을 구축하고, 연구 교류를 통해 성공적인 민·관 또는 민·군 협력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교육 대상은 전국의 의료진과 의대생, 간호대생, 응급구조과 학생 및 일반인, 소방대원, 경찰, 군인 등이다.
이를 위해 순천향대 부천병원은 신희준 응급의학과 교수를 센터장으로 임명했다. 신 센터장은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병원 BIDMC(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재난의학 펠로우십 및 하버드 의과대학 연구 펠로우 출신으로 다양한 재난의학 국제 전문 자격증을 보유하고, 미국 및 유럽 재난의학회 등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한 국내 몇 안 되는 재난의학 전문가다. 국내외 주요 재난의학 교육기관의 훈련교육과 워크숍을 설계하고, 운영위원과 강사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복지부와 WHO 주최의 '제5차 국제 군중집회의학 콘퍼런스'에 초청돼 '2022년 한국 이태원 핼러윈 압사 참사'를 주제로 강의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한편,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는 12월 1일 오후 2시 순천향대 부천병원 순의홀에서 'CBRNe와 Counter-Terrorism Medicine: 현대 위협에 대한 대응 전략'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신희준 순천향 재난의학센터장과 로베르토 무가베로 유럽 재난의학센터 회장이 주요 연자로 참여해 ▲CBRNe(화학·생물·방사능·핵·고폭탄) 위협 및 대테러의학 개관 소개, ▲최근 CBRNe 위협 및 의학적 대응에 대한 사례 분석(하마스-이스라엘 테러), ▲현장의 최첨단 CBRNe 재난 기술 및 대응 전략의 소개 등에 대해 강의하고, '대한민국의 재난의료체계는 CBRNe 및 테러에 안전한가?'를 주제로 패널 토의를 진행한다.
패널 참석 대상은 보건복지부, 환경부, 국방부, 화학물질안전원, 원자력연구원, 소방청,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경찰청, 경기도청, 부천시청, 부천시보건소 관계자와 의료진 등이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별도의 신청 없이 참석할 수 있다. 심포지엄에 대한 자세한 내용 및 문의처는 순천향대 부천병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신희준 순천향 재난의학센터장은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는 12월 1일 예정인 심포지엄과 유럽 재난의학센터 MOU를 시작으로 세계 유수 재난의학 교육기관들과 MOU를 체결하고, 재난 응급의료 전문가 양성 교육 및 인증 체계를 구축하여 국내 최고의 전문 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출처 : 스포츠조선
( https://sports.chosun.com/life/2023-11-14/202311150100104920013908?t=n1 )
의협신문
게시일: 2023년 11월 14일
- 재난 응급의료 전문가 양성 교육·인증 체계 구축
- 초대 센터장에 '재난의학 전문가' 신희준 교수 선임
- 12월 1일 기념 심포지엄…유럽 재난의학센터 회장 초청 강연
출처 : 의협신문(http://www.doctorsnews.co.kr)
순천향대 부천병원이 12월 1일 '순천향 재난의학센터' 문을 연다. 개소기념 심포지엄도 마련한다.
세계적으로 전쟁, 테러 위협, 대형 재난 사고가 잦아지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재난의학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순천향대부천병원은 재난의학 전문가 양성 및 교육인증센터 체계화 등 다각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현재 국내 재난의학 교육기관은 중앙응급의료센터(KDLS·한국형 재난의료 지원), 서울대병원(NDLS·국가재난응급의료교육센터), 대한재난의학회 등 몇몇 기관에 불과하고, 대부분 서울에 집중돼 있어 수도권이나 지방에서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재난의학 교육이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에 문을 여는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는 재난의학의 모든 영역을 다루는 체계적인 전문 교육과 인증시스템을 구축하고, 연구 교류를 통해 성공적인 민-관, 민-군 협력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교육 대상은 전국의 의료진과 의대생, 간호대생, 응급구조과 학생 및 일반인, 소방대원, 경찰, 군인 등이다.
재난의학센터장에는 신희준 교수(응급의학과)가 선임됐다.
신희준 센터장은 미국 하버드의대병원 BIDMC(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재난의학 펠로우십 및 하버드의대 연구 펠로우 출신으로 다양한 재난의학 국제 전문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및 유럽 재난의학회 등과 긴밀한 협력체계를 맺고 있는 국내 몇 안 되는 재난의학 전문가다. 국내외 주요 재난의학 교육기관의 훈련교육과 워크숍을 설계하고, 운영위원과 강사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우디아라비아 복지부와 WHO 주최의 '제5차 국제 군중집회의학 콘퍼런스'에 초청돼 '2022년 한국 이태원 핼러윈 압사 참사'를 주제로 강의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는 12월 1일 오후 2시 원내 순의홀에서 'CBRNe와 Counter-Terrorism Medicine: 현대 위협에 대한 대응 전략'을 주제로 개소 기념 심포지엄을 연다.
신희준 순천향 재난의학센터장과 로베르토 무가베로 유럽 재난의학센터 회장이 주요 연자로 참여해 ▲CBRNe(화학·생물·방사능·핵·고폭탄) 위협 및 대테러의학 개관 소개 ▲최근 CBRNe 위협 및 의학적 대응에 대한 사례 분석(하마스-이스라엘 테러) ▲현장의 최첨단 CBRNe 재난 기술 및 대응 전략의 소개 등에 대해 강의하고, '대한민국의 재난의료체계는 CBRNe 및 테러에 안전한가?'를 주제로 패널 토의를 진행한다.
패널로는 보건복지부, 환경부, 국방부, 화학물질안전원, 원자력연구원, 소방청, 경기도소방재난본부, 경찰청, 경기도청, 부천시청, 부천시보건소 관계자와 의료진 등이 참석한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별도의 신청 없이 참석할 수 있다<심포지엄 안내-순천향대 부천병원 홈페이지(https://url.kr/39er4c) 참조>.
신희준 센터장은 "순천향 재난의학센터는 12월 1일 예정인 심포지엄과 유럽 재난의학센터 MOU를 시작으로 세계 유수 재난의학 교육기관들과 MOU를 체결하고, 재난 응급의료 전문가 양성 교육 및 인증 체계를 구축하여 국내 최고의 전문 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의협신문(http://www.doctorsnews.co.kr)
게시일: 2023년 11월 1일
신재난의학아카데미 CEO 신희준이 2023년 10월 30일 월요일 사우디아라비아 시간 오후 1시 15분에 힐튼 리야드 호텔에서 열린 "제5차 국제 군중집회의학 컨퍼런스" 에서 "Crowd Disasters and Countermeasures" 를 주제로 2022년 한국의 이태원 헬로윈 압사 참사에 대해 구연 발표를 하였다.
게시일: 2023년 10월 23일
신재난의학아카데미 CEO 신희준이 2023년 10월 29일 부터 31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복지부와 WHO 주최 "제5차 국제 군중집회의학 컨퍼런스"에서 강사 초청을 받았다.
CEO 신희준은 이날 "Crowd Disasters and Countermeasures" 섹션에서 2022년 한국의 이태원 헬로윈 압사 참사를 주제로 구연 강의를 한다.
이하는 초대장 전문의 한글 번역이다.
=========================================================================
안녕하세요, Dr. Heejun Shin님,
제5회 국제 집단 모임 의학 회의 과학 위원회를 대표하여,
“Legacy in Global Health Security”라는 슬로건 아래 열리게 될 다가오는 회의에
발표자로써 초대하고자 합니다.
본 회의는 주로 COVID-19 팬데믹 및 이후 시대의 집단 모임 계획과 관리에 대한
최신의 지식과 경험, 그리고 글로벌 건강 안보(GHS)에 대한 기여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전문 분야에서의 선도적인 인물로서, 과학 위원회는 귀하를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Events Experience”라는 세션에서 "Crowd Disasters and Countermeasures"에 대해
발표하실 수 있으면 영광스럽게 생각하겠습니다.
회의는 2023년 10월 29일부터 31일까지 사우디 아라비아 리야드의 힐튼 호텔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회의 전후로 워크숍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프로그램은 초안 상태이며, 회의에 대한 추가 정보와 함께 곧 귀하에게
전달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리야드에서의 만남을 기대하며.
Dr. Anas Khan
과학 위원회 의장
국제 군중 집회 의학 센터 관장
사우디 아라비아 보건부
=====================================================================
중동의 화약고는 폭발하였고 급변하는 세계정세 가운데에서 우리는 대테러의학의 실제적인 필요성을 절감합니다.
2023년 다움 10월 10일자 헤드라인 뉴스
살해 위협에도 40명 모였다…우크라∙러 기자들 "韓여론 궁금"
https://v.daum.net/v/20231010070044348
(2023.10.10)
"北, 과거 하마스에 무기 제공 정황…이번 공격에 사용 가능성"
https://v.daum.net/v/20231010073955778
(2023.10.10)
이스라엘 자랑하던 ‘아이언돔’ 뚫렸다...1만6000발 北장사정포 어쩌나
https://v.daum.net/v/20231010073516725
(2023.10.10)
하마스, '이스라엘 공격'에 북한제 유탄발사기 사용했나
https://v.daum.net/v/20231010081939415
(2023.10.10)
이·팔 교전, 사망자 1500명 육박… 미국 등 5개국 "이스라엘 지지"
https://v.daum.net/v/20231010072517610
(2023.10.10)
게시: 2023. 10. 8.
네타냐후 "길고 어려운 전쟁에 진입" 무력분쟁 공식화
"하마스·이슬라믹지하드 등 군사·통치 역량 파괴 승인"
가자지구 고립·비무장화…중동전쟁 불쏘시개 될라 우려도
연합뉴스 기사링크: https://v.daum.net/v/20231008101311266
CNN News Link: https://edition.cnn.com/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이스라엘이 자국을 기습공격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와 무장단체 이슬라믹 지하드를 겨냥한 공식적인 전쟁 진입을 선언했다.
로이터 통신과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총리실은 8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안보 분야 장관들을 소집해 심야 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성명에서 "우리는 길고 어려운 전쟁에 진입하고 있다"며 "하마스의 치명적 공격 때문에 우리는 전쟁에 나설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전쟁의) 첫 단계는 수시간 내에 우리 영토에 침투한 적병력 대부분이 말살되면서 끝난다"며 "이와 동시에 우리는 목적 달성까지 거리낌이나 중단 없이 계속될 공세를 개시했다"고 강조했다.
총리실은 하마스와 이슬라믹지하드의 군사·통치 역량을 파괴하기 위한 일련의 작전상 결정도 내려졌다면서 여기에는 가자지구에 대한 전력 공급 중단과 외부로부터의 연료 및 물품 전달 차단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스라엘 군당국은 가자지구 내에 군사제한구역을 설치하는 계획도 발표했다.
이스라엘군은 텔레그램을 통해 "상황 평가에 의거해 가지자구내 책임구역 전역을 군사제한구역으로 선언했다"면서 "군은 군사제한구역에 대한 진입은 금지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일반 국민은 해당 지역에 들어가지 말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팔레스타인 무장세력을 겨냥한 이스라엘 군사작전의 시점이나 규모는 아직 불투명하다.
앞서 이스라엘군 대변인인 다니엘 하가리 소장은 하마스에 인질이 된 민간인과 군인이 많다는 점이 향후의 전쟁과 이스라엘이 하마스에 대해 무엇을 할 것인지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유대 안식일인 7일 새벽 이스라엘을 겨냥해 수천발의 로켓포를 쏘고, 무장대원들을 침투시킨 하마스는 이스라엘 군인 50여명을 포로로 잡고 다수의 민간인을 인질로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마스 군사 조직 대변인은 7일 자정이 지나 방송된 자료에서 하마스에 붙들린 이스라엘인의 전체 숫자가 수십명보다 "여러 배는 많다"면서 인질들을 가자 지구 전역에 분산 수용했다고 밝혔다.
예루살렘 포스트 등 현지 언론은 이스라엘 보건부를 인용, 이스라엘에서 300명이 넘는 주민이 숨지고 최소 1천500여명이 다쳤다고 보도했다.
하마스가 통치 중인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보건당국도 이스라엘의 보복 공습으로 가자지구에서 최소 232명이 죽고 1천700명 가까운 주민이 부상했다고 집계했다.
이번 사태는 이미 2021년 5월 '11일 전쟁' 이후 최대 규모 무력충돌로 평가된다.
이슬람 금식성월인 라마단 기간에 동예루살렘 성지인 알아크사 사원을 찾은 팔레스타인인들을 상대로 이스라엘 경찰이 강제 퇴거를 시도하면서 발발한 해당 전쟁에선 가자지구에서 250명, 이스라엘에서 13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2007년과 2014년에도 각각 22일과 50일에 걸쳐 전쟁을 벌였으며, 이로 인해 팔레스타인인 3천500여명과 이스라엘인 70여명이 숨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하마스를 지원해 온 이란과 이스라엘 간의 전쟁으로 분쟁이 번질 가능성을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실제, 이스라엘 현지에선 이슬람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 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 움직임에 예민한 반응을 보여온 시아파 종주국 이란이 이른바 '중동 데탕트'를 무산시킬 목적으로 이번 공격을 배후 조종했을 것이란 의혹이 고개를 들고 있다.
알렉산데르 벤 즈비 주러시아 이스라엘 대사는 7일 타스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하마스와 같은) 테러조직들은 가자 주민들을 인질 삼아 인간방패로 쓰고 있고, 여기에는 다른 세력들도 관여하고 있다"면서 "예컨대 이란은 그런 테러조직들에 자금을 대왔다"고 지적했다.
다만, 당장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충돌이 중동 전쟁의 도화선이 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미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번 공격의 배후에 이란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란이 특정한 공격에 연계돼 있다는 어떤 징후도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게시일: 2023.10.08 15:03
헤럴드경제 기사링크: https://news.heraldcorp.com/view.php?ud=20231008000123
BBC News: https://www.bbc.com/news/world-asia-67039463
시신 분산수용, 정확한 집계 어려워
지진 잦은 지대…사망자 더 늘 듯
[헤럴드경제=이형석 기자]아프가니스탄에서 7일(현지시간) 발생한 강진으로 인한 희생자가 시간이 갈수록 크게 늘고 있다. 8일 로이터는 아프간 당국을 인용해 전날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2053명, 부상자가 9240명이라고 전했다. 이에 앞서 아프간 정부 대변인은 사망자수가 1000이상으로 급증했다고 밝혔는데, 집계가 계속될수록 희생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헤라트주 보건부 관계자는 시신들이 여러 병원에 분산수용돼 사망자수를 확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피해 집계가 이뤄지는 상황이어서 사상자수가 유동적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7일 오전 11시11분께 아프간 북서부에서 규모 6.3의 강진이 발생하고 이후 규모 4.3에서 6.3 사이 강한 여진이 여덟 차례 이어졌다.
진앙은 헤라트주 주도 헤라트 북서쪽 40㎞ 지점으로, 진원 깊이는 14㎞로 비교적 얕았다.
이란 국경에서 동쪽으로 120km 떨어진 헤라트는 아프간 문화 수도로 꼽힌다. 2019년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헤라트에는 약 190만명이 살고 있다.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인도로 이어지는 국경지대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이 교차해 힌두쿠시 산맥을 중심으로 지진이 잦은 편이다.
지난해 6월에는 아프간 남동부 파키스탄 국경 인근 파크티카주에서 규모 5.9 지진이 일어나 1천여명이 숨졌다.
신재난의학아카데미는 미국 911테러 22주기인 오는 2023년 9월 11일 대한민국 국민들을 대상으로 "대한민국에 왜 CTM 교육과 CTM 전문가가 필요한가?"라는 주제의 대테러의학 (Counter-Terrorism Medicine, CTM) 온라인 줌 강의 웨비나를 개최합니다.
CTM은 재난의학의 하위 분과로 테러 공격이나 관련 재난 상황에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 의학 분야입니다. CTM의 목표는 테러로 인한 의학적 결과를 예방 및 완화하고 피해자의 건강 결과를 최적화하는데 있습니다.
그러나 재난의학을 정의하는 핵심 요소가 위기 상황에서의 의료 처치와 응급 관리의 결합이듯이
CTM의 핵심 원칙에는 의학적인 내용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신속한 현장 응급 대응, 사상자에 대한 효과적인 분류 및 치료, 법 집행 기관 및 응급 구조대원과의 조정, 잠재적인 건강 위협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 및 모니터링, 및 정책 결정 등의 재난관리를 위한 방대한 분야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실상 CTM 교육의 대상은 경찰, 군인, 관련 정책을 결정하고 만드는 고위 국가 공무원, 재난 관리자, 응급의료체계 종사자, 현장 일차 대응자, 정치인, 및 병원 의료 종사자 등 테러 재난의 단계에 관여하는 국가 기관 종사자와 민간 의료 대응자를 포함한 모든 직역입니다.
본 웨비나는 재난의학 영역 세계최고의 석학이자 전 세계 재난의학 교과서인 Ciottone's Disaster Medicine Book의 저자인 미국 보스턴 하버드 의과대학 응급의학과의 부교수 Dr. Gregory Ciottone을 필두로 전 세계 재난의학 및 대테러의학의 최고 전문가들을 연자로 초대 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과 등록 방법은 Webinar 섹션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nnouncement, September 11, 2023, 7:30 PM) Inaugural CTM Webinar of the Shin's Disaster Medicine Academy
Marking the 22nd anniversary of the 9/11 terror attacks, the Shin's Disaster Medicine Academy is hosting an online Zoom lecture webinar on September 11, 2023, for the South Korean public on the topic: "Why does South Korea need CTM education and CTM specialists?"
Counter-Terrorism Medicine (CTM) is a sub-discipline of disaster medicine focused on delivering medical services during terror attacks or related disaster situations. The aim of CTM is to prevent and mitigate the medical consequences of terrorism and optimize health outcomes for victims.
However, just as the core element defining disaster medicine is the combination of medical treatment in crisis situation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TM are not limited to medical content alone. It includes rapid on-site emergency responses, effective triage and treatment of casualties, coordination with law enforcement and emergency responders, ongoing surveillance and monitoring of potential health threats, and policy-making for disaster management.
Consequently, the real targets for CTM education encompass police officers, military personnel, high-ranking national officials formulating and crafting related policies, disaster managers, emergency medical system workers, primary on-site responders, politicians, hospital medical staff, and essentially all professionals involved in any phase of a terror disaster, both from national institutions and private medical responders.
This webinar has invited the world's foremost scholars in the field of disaster medicine, led by Dr. Gregory Ciottone, an Associate Professor of Emergency Medicine at Harvard Medical School in Boston and author of the globally recognized textbook, Ciottone's Disaster Medicine Book. He is joined by some of the world's top experts in disaster medicine and counter-terrorism medicine.
For detailed information and registration, please check the Webinar section.
신재난의학아카데미의 CEO 신희준은 첫 공식 아카데미 활동으로 2023년 8월 24일 비온뒤 시사/이슈 라이브에 출연하여 8월 21일 밤에 천안에서 BMW 운전자에 의해 발생한 교차로 구급차 교통 사고 및 환자 보호자 사망자 발생에 대한 시사/ 이슈라이브를 진행하였습니다. 신재난의학아카데미의 CEO 신희준은 여기에서 구급차 교통사고 문헌 고찰을 통해 국내 및 해외의 관련 연구를 소개하고 법령 지식을 공유하며 시청자 분들과 Q n A 시간을 가졌습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유튜브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WdJprGgylsw&t=1913s )
On August 24, 2023, CEO of the Shin's Disaster Medicine Academy, Heejun Shin appeared on 'After the Rain Current Affairs/Issue Live'
[Current Affairs/Issue Live] Ambulance hit by a BMW resulting in the death of the patient's guardian / Emergency Medicine Department of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Prof. Heejun Shin.
On August 24, 2023, Shin Hee-jun, the CEO of the New Disaster Medicine Academy, made his first official appearance on the Academy's platform by participating in the 'After the Rain Current Affairs/Issue Live', discussing the tragic traffic accident caused by a BMW driver at an intersection in Cheonan on the night of August 21, resulting in the death of a patient's guardian. In the show, CEO Heejun Shin presented literature reviews on ambulance traffic accidents, introduced releva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shared knowledge on legal regulations, and engaged in a Q&A session with the viewers.
For a more in-depth look into the discussion, you can access the content through the link provided below.
YouTube Link: ( https://www.youtube.com/watch?v=WdJprGgylsw&t=1913s )
Copyright © 2023 Shin's Disaster Medicine Academy -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GoDaddy
We use cookies to analyze website traffic and optimize your website experience. By accepting our use of cookies, your data will be aggregated with all other user data.